콘덴서(Condenser)


콘덴서라는 명칭은 한국이나 일본에서 불려진다고 하며, 미국 등에서는 캐패시터(Capacitor)라고 부른다고 한다.

즉 콘덴서 = 캐패시터. 같은 말이다.


기능

전자의 전하를 저장하고 유지하는 충전 기능과, 축적된 전하를 회로를 통하여 방출시키는 방전 기능을 할 수 있는 부품.

쉽게 말해 아주 빠르게 반응할 수 있는 충전지라고도 할 수 있는데, 일반 충전지는 충전을 하려면 최소한 몇십 분 이상 기다려야 하지만 콘덴서는 수ms만에도 충전을 시킬 수 있으며 방전도 아주 빠르게 할 수 있다.


종류



A-1   누구나가 아는 적층세라믹 콘덴서(MLCC)

A-2   MLCC 에 lead(다리)만 붙이 콘덴서

A-3   세라믹 콘덴서

A-4   고압 세라믹 콘덴서

 

B-1   알류미늄 전해콘덴서(액체)

B-2   알루미늄 전해콘덴서(고용량용)

B-3   알류미늄 전해콘덴서(고체)  (수정: 이미지는 전해(액체형)이며  색이 붉은색(?)일 경우 고체형이다)


C-1  탄탈콘덴서

전해 콘덴서의 일종으로 양극의 금속을 탄탈로 사용한다.

전해 콘덴서에 비해서 주파수 특성, 온도 특성, 누설전류 특성이 좋고 소형이라

커플링 회로, 필터회로 등에 많이 사용된다.

하얀색이 있는 부분이 (+)극.


C-2  탄탈콘데서(lead 있는것)

 

D-1  마일러 콘덴서

D-1  마일러 콘덴서(고압)



단위

콘덴서의 용량을 나타내는 단위는 패러드 (farad: F)가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콘덴서에 축적되는 전하용량은 매우 작기 때문에, μF(마이크로 패러드: 10-6F)나 pF(피코 패러드:10-12F)의 단위가 사용됩니다.
콘덴서의 용량 표시에 3자리의 숫자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부품 메이커에 따라 용량을 3자리의 숫자로 표시하든가 그대로 표시 하기도 합니다. 
3자리 숫자로 나타내는 경우에는 앞의 2자리 숫자가 용량의 제1숫자와 제2숫자이고,3자리째가 승수가 됩니다. 
표시의 단위는 pF(피코 패러드)로 되어 있습니다.
예를들면 103이면10×10^3=10,000pF= 0.01μF로됩니다.(224는22×10^4=220,000pF=0.22μF)  
100pF 이하의 콘덴서는 용량을 그대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즉, 47은 47pF를 의미합니다.

   μF(마이크로 패러드 : 10^-6F)
   nF(나코 패러드       : 10^-9F)
   pF(피코 패러드       : 10^-12F)

   102  = 10×10^2  =      1,000pF  =          1nF  =   0.001μF
   103  = 10×10^3  =     10,000pF  =        10nF  =    0.01μF
   104  = 10×10^4  =    100,000pF  =      100nF  =      0.1μF
   105  = 10×10^5  =  1,000,000pF  =   1,000nF  =         1μF
   106  = 10×10^6  = 10,000,000pF = 10,000nF   =        10μF
   224  = 22×10^4  =    220,000pF  =      220nF  =     0.22μF
   472  = 47×10^2  =       4,700pF  =       4.7nF  =  0.0047μF
   475  = 47×10^5  =  4,700,000pF  =   4,700nF   =       4.7μF







출처

http://forum.falinux.com/zbxe/index.php?document_srl=785157&mid=hardware

http://forum.falinux.com/zbxe/index.php?mid=hardware&page=12&document_srl=530822

'전기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LVDS  (0) 2013.10.17
Posted by HUEJI
: